실행 -> gpedit.msc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터미널 서비스 -> 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 -> 원격 세션 환경 -> RemoteFX 폴더 안의 내용 활성화

 

이후 Windows 기능 켜기/끄기 Hyper-V 활성

 

추가)

꼭 원격 데스크톱 가상화 호스트 역할 서비스 설치
1.
서버 관리자를 엽니다. 서버 관리자를 열려면 시작을 클릭하고 관리 도구를 가리킨 다음 서버 관리자를 클릭합니다.

2.
역할을 확장한 다음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3.
역할 서비스에서 역할 서비스 추가를 클릭합니다.

4.
원격 데스크톱 가상화 호스트 확인란을 선택한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Hyper-V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서버 관리자가 자동으로 Hyper-V를 설치합니다.

5.
설치를 클릭합니다.

6.
설치가 완료되면 닫기를 클릭합니다.

 

더이상 지원하지 않아서 추가 안된다면 ( Windows 10 버전 1809 이상 , 서버는 1803 이상 )

 

Add-VMRemoteFx3dVideoAdapter -VMName Test 명령으로 강제 추가

Posted by 꼬장e
,

● 이전 방식처럼 업데이트 막기

 

 실행 ->  gpedit.msc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 컴퓨터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업데이트 -> 자동 업데이트 구성 더블클릭 후 사용으로 설정

 

 자동 업데이트구성 원하는걸 선택

 

 

 실행 -> services.msc -> 서비스 -> Windows Update 사용안함 혹은 수동 설정

Posted by 꼬장e
,

php.ini 수정


max_input_vars 값 수정 혹은 .htaccess 에 PHP_VALUE max_input_vars 값 추가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v 를 위한 RemoteFX 활성화  (0) 2018.08.10
윈도우10 자동업데이트 끄기  (0) 2018.08.03
[리눅스]selinux 아파치 접근 문제  (0) 2018.06.04
[리눅스] 절전모드 해제  (0) 2018.05.30
[리눅스]자바 설치  (0) 2018.05.30
Posted by 꼬장e
,

출처 : http://forbis.egloos.com/m/3415718


Point : CentOS 설치후 selinux 관련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하고 재부팅한 다음 설치를 시작했다.


[root@localhost ~]# vi /etc/selinux/config

# This file controls the state of SELinux on the system.

# SELINUX= can take one of these three values:

#       enforcing - SELinux security policy is enforced.

#       permissive - SELinux prints warnings instead of enforcing.

#       disabled - SELinux is fully disabled.

SELINUX=disabled

# SELINUXTYPE= type of policy in use. Possible values are:

#       targeted - Only targeted network daemons are protected.

#       strict - Full SELinux protection.

SELINUXTYPE=targeted

[root@localhost ~]# reboot 


만약 재부팅을 하지 않고 진행하려면 쉘상에서 setenforce 0을 입력하면 된다.


[root@localhost ~]# setenforce 0

[root@localhost ~]# setenforce

usage:  setenforce [ Enforcing | Permissive | 1 | 0 ]

 

 

 

혹시라도 selinux를 적용해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웹서버 디렉토리 만든다음 selinux 문맥에 맞게 변경해 주어야 한다.


useradd 명령으로 test 사용자를 추가하면 /home/test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하지만 selinux가 적용된 시스템에서는 /home/test 디렉토리의 보안문맥이 user_home_t 로 구성되는데, 디렉토리 권한이 755로 되어 있어도 기본 보안문맥으로는 웹(80포트)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사용자 디렉토리에 대한 보안문맥을 chcon 명령어로 아래와 같이 변경해 주어야 한다.


# chcon -R -t httpd_sys_content_t /home/test


쓰기권한이 필요한 경우 ( 보안 문제가 있으니 정확한 폴더만 승인하자 )

#chcon -R -t httpd_sys_rw_content_t /home/계정/폴더


이렇게 보안문맥을 지정해 주면 /home/test 디렉토리 아래에 생성되는 모든 파일들은 이제부터 httpd_sys_content_t 문맥의 영향을 받아 모두 httpd_sys_content_t 보안문맥으로 생성된다.


이제 "mkdir /home/test/public_html" 명령으로 디렉토리를 생성하면 위의 httpd_sys_content_t 문맥을 가지는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웹 80포트에서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root@localhost ~]# useradd test

[root@localhost ~]# touch ~test/test.txt

[root@localhost ~]# ls -lZ ~tes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user_home_t      test.txt

[root@localhost ~]# chcon -R -t httpd_sys_content_t /home/test

[root@localhost ~]# ls -lZ ~tes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test.txt

[root@localhost ~]#


===


[root@localhost ~]# su - test

[test@localhost ~]$ ls -lZ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test.txt

[test@localhost ~]$ touch selinux.txt

[test@localhost ~]$ ls -lZ

-rw-rw-r--  test tes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selinux.tx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test.txt

[test@localhost ~]$



[* 참고 *]


만약 다른곳의 파일을 /home/test 디렉토리 아래로 복사 또는 이동할때에는 어떻게 될까?


cp 명령에 의한 복사시에는 기존 파일 자신의 보안문맥과 함께 httpd_sys_content_t 문맥을 추가적으로 붙여서 복사된다.


[root@localhost ~]# touch root.txt

[root@localhost ~]# ls -lZ root.tx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user_home_t      root.txt

[root@localhost ~]# cp root.txt /home/test

[root@localhost ~]# ls -lZ /home/tes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root.txt

-rw-rw-r--  test tes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selinux.tx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test.txt

[root@localhost ~]#


mv 명령에 의한 이동시에는 기존 파일 자신의 보안문맥만 유지하고 파일이 이동된다. 즉 httpd_sys_content_t 보안문맥이 추가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root@localhost ~]# touch mv.txt

[root@localhost ~]# ls -lZ mv.tx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user_home_t      mv.txt

[root@localhost ~]# mv mv.txt /home/test/

[root@localhost ~]# ls -lZ /home/tes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user_home_t      mv.tx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root.txt

-rw-rw-r--  test tes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selinux.txt

-rw-r--r--  root root user_u:object_r:httpd_sys_content_t test.txt

[root@localhost ~]#


그러면 ftp에서는 어떻게 할까?


* ftp 홈에대한 권한적용을 풀어주기 위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P옵션은 재부팅후에도 적용되는 옵션으로 selinux 환경설정이 저장된다는 의미다.


# setsebool -P ftp_home_dir 1 


* ftp에 대해 selinux 파일보안 정책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setsebool -P ftpd_disable_trans 1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자동업데이트 끄기  (0) 2018.08.03
[php] POST 전송 데이터 잘릴때  (0) 2018.07.24
[리눅스] 절전모드 해제  (0) 2018.05.30
[리눅스]자바 설치  (0) 2018.05.30
[리눅스]ssh 포트 변경  (0) 2018.05.30
Posted by 꼬장e
,

[리눅스] 절전모드 해제

OS 2018. 5. 30. 10:57

데스크탑 버저니 아니라 콘설 버전 설치시

# setterm -powersave off -powerdown 0 ( ssh상에서는 적용이 안됨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 POST 전송 데이터 잘릴때  (0) 2018.07.24
[리눅스]selinux 아파치 접근 문제  (0) 2018.06.04
[리눅스]자바 설치  (0) 2018.05.30
[리눅스]ssh 포트 변경  (0) 2018.05.30
[리눅스]명령 ( 계속 추가 )  (0) 2018.05.10
Posted by 꼬장e
,

[리눅스]자바 설치

OS 2018. 5. 30. 10:11

목록확인

#yum list java*jdk-devel

 

설치
#yum install java-1.8.0-openjdk-devel.x86_64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selinux 아파치 접근 문제  (0) 2018.06.04
[리눅스] 절전모드 해제  (0) 2018.05.30
[리눅스]ssh 포트 변경  (0) 2018.05.30
[리눅스]명령 ( 계속 추가 )  (0) 2018.05.10
시스템 유휴 시간 프로세스 중단방법  (0) 2018.02.19
Posted by 꼬장e
,

[리눅스]ssh 포트 변경

OS 2018. 5. 30. 07:34

vi /etc/ssh/sshd_config

Port 주석 제거후 변경

systemctl restart sshd

 

실행 실패시

설치

# yum install policycoreutils-python

실행

#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변경할포트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절전모드 해제  (0) 2018.05.30
[리눅스]자바 설치  (0) 2018.05.30
[리눅스]명령 ( 계속 추가 )  (0) 2018.05.10
시스템 유휴 시간 프로세스 중단방법  (0) 2018.02.19
[윈도우]무선랜 핑 느려질때 빠르게  (0) 2018.01.30
Posted by 꼬장e
,

● tail [option] <file_name> ( 입력된 데이터 마지막 출력 )

  예)  tail -n 10 filename ( 마지막 10줄 출력 )

  옵션) 

-f : 실시간으로 마지막줄 출력 grep 응용 가능, 간혹 실행중 멈추는 현상 있음

-F : -f 단점 보완 ( 5Mbytes 정도 되면 확장자에 숫자를 붙여 백업파일 생성후 0byte 부터 시작

-c : 지정된 수만큼 바이트 단위로 보여줌

-v : 출력결과 맨 윗줄에 파일명 표시

-q : 출력결과 맨 윗줄에 파일명 미표시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자바 설치  (0) 2018.05.30
[리눅스]ssh 포트 변경  (0) 2018.05.30
시스템 유휴 시간 프로세스 중단방법  (0) 2018.02.19
[윈도우]무선랜 핑 느려질때 빠르게  (0) 2018.01.30
[리눅스] 버전 확인  (0) 2016.06.15
Posted by 꼬장e
,

regedit 실행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dfrg -> bootopptimizefuntion -> enable -> n로 수정 후 재시작

 

enable이 없을 경우 새로운 문자열 추가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ssh 포트 변경  (0) 2018.05.30
[리눅스]명령 ( 계속 추가 )  (0) 2018.05.10
[윈도우]무선랜 핑 느려질때 빠르게  (0) 2018.01.30
[리눅스] 버전 확인  (0) 2016.06.15
[리눅스] IP변경  (0) 2016.06.08
Posted by 꼬장e
,

regedit 실행후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Class\{4d36e972-e325-11ce-bfc1-08002be10318}

 

1. 경로를 찾아가면 여러가지 폴더가 있는데 그중에 내 무선랜카드 모델명이 들어있는 폴더를 찾는다

 

2. 새로만들기 DWORD(32비트) 만든후 ScanWhenAssoicated 로 이름변경 

 

3. 보통 16진수 데이터 0 으로 들어있지만 혹시 모르니 다시 값 확인

 

그러고 재부팅~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명령 ( 계속 추가 )  (0) 2018.05.10
시스템 유휴 시간 프로세스 중단방법  (0) 2018.02.19
[리눅스] 버전 확인  (0) 2016.06.15
[리눅스] IP변경  (0) 2016.06.08
[리눅스] 방화벽 iptables 설정  (0) 2016.04.05
Posted by 꼬장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