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ome에서 한글 설정

 

다음과 같이 Korean 한글 설치

[Applications]-[Add/Remove Software]-[Languages] 설치

 

영문버전으로 설치 시 한글 설정

 

한글 폰트 설치

# yum install kde-i18n-Korean
# yum install fonts-korean

한글 관련 모든 패키지 설치

# yum groupinstall korean-support -x xorg-x11-server-Xorg

/etc/sysconfig/i18n 파일 수정

LANG="ko_KR.eucKR"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eucKR;ko_KR;ko"
SYSFONT="lat0-sun 16"

다음과 같이 적용

# source /etc/sysconfig/i18n

만약, 이 방법으로 문제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다음 내용 확인

# fc-cache

 

font를 바탕으로 변경

 

fc-cache를 하지 않아서 font가 리스트에 나오지 않았다. 설정에 나오지 않는다면 이 명령을 실행해야 한다.

언어 설정 후, logout-login 한다.

 

출처 : http://www.blogcodi.net/archives/12329?cat=1759

Posted by 꼬장e
,

[출처] http://goo.gl/w0AsnU


# 설치환경
- CentOS 5.x (64bit)
- mysql 5.1.59
  설치위치: /home/APM/mysql


1. 슬로우쿼리란?

- 일정 시간을 초과하는 쿼리에 대해 로그를 남김으로써 로그 분석을 통해 쿼리 성능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



2. 슬로우로그 쿼리 활성화

- /etc/my.cnf 파일에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 3초 이상 지속되는 쿼리를 슬로우쿼리로그에 저장하게 됩니다.

[root@cafe24 ~]# vi /etc/my.cnf
---------------------------------------------------------------------------------------------------------------------------------------------------------------------------
# The MySQL server
[mysqld]
port            = 3306
socket          = /tmp/mysql.sock
skip-locking
key_buffer_size = 384M
max_allowed_packet = 1M
table_open_cache = 512
sort_buffer_size = 2M
read_buffer_size = 2M
read_rnd_buffer_size = 8M
myisam_sort_buffer_size = 64M
thread_cache_size = 8
query_cache_size = 32M
# Try number of CPU's*2 for thread_concurrency
thread_concurrency = 8
max_connections = 2048

#default-character-set=euckr
#character-set-client-handshake = FALSE

# Don't listen on a TCP/IP port at all. This can be a security enhancement,
# if all processes that need to connect to mysqld run on the same host.
# All interaction with mysqld must be made via Unix sockets or named pipes.
# Note that using this option without enabling named pipes on Windows
# (via the "enable-named-pipe" option) will render mysqld useless!
#
#skip-networking

# slow qeury log
log-slow-queries = /home/APM/mysql/var/mysql-slow.log               <-- 추가합니다
long_query_time = 3

# Replication Master Server (default)
# binary logging is required for replication
log-bin=mysql-bin
---------------------------------------------------------------------------------------------------------------------------------------------------------------------------


-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mysql을 재시작하여 적용합니다.

[root@cafe24 ~]# /etc/rc.d/init.d/mysql restart
Shutting down MySQL.                                       [  OK  ]
Starting MySQL.                                                 [  OK  ]
[root@cafe24 ~]#



* slow query 로그에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Time          : 쿼리요청시간

- User@Host : 쿼리를 요청한 User와 호스트

- Query_time : 실제 수행시간

- Lock_time   : 락이 걸린 시간

- Rows_sent  : 쿼리결과로 나온 열(Row)의 수

- Rows_examined : 쿼리대상의 열(Row)수

- 가장하단 : 수행된 쿼리문

Posted by 꼬장e
,

보통 register_global = on 으로 되어있지만 off 로 변경하자

 

예전에는 $_POST 등과 같은 인자가 필요 없었던듯.

Posted by 꼬장e
,

http://theeye.pe.kr/archives/94

Posted by 꼬장e
,

# find -name *.swp 명령으로 찾아보고


 ./.httpd.conf.swp 보이면


# rm ./.httpd.conf.swp 삭제


rm: remove 일반 파일 `./.httpd.conf.swp'? y

Posted by 꼬장e
,

시간동기화

 ▶ clock ( CMOS 시간확인 )

  -u : CMOS의 시간을 국제시간으로 조정한다

  -r : CMOS의 시간을 출력한다

  -w : 리눅스시스템 시간으로 CMOS시간을 조정한다

  -s : CMOS의 시간으로  리눅스 시스템시간을 조정한다

  -a : CMOS의 시간으로 리눅스 시스템시간으로 조정하고 다시 CMOS에 조정한다


 ▶ date

  date MMDDHHmmYY : 시간 설정


 ▶ rdate

  -s : 시스템 시간 넷과 동기화


  rdate -s time.bora.net 

  rdate -s time.kriss.re.kr


  php.ini 파일 수정
  cat /etc/php.ini | grep timezone
  date.timezone = Asia/Seoul
  httpd restart

 

시간대 변경

 ▶ 시간대 확인 : cd /usr/share/zoneinfo 에서 파일 목록 확인

 ▶ 시간대 변경 ( 처음에 Seoul 을 복사 했으나 적용이 안됨 그래서 Tokyo로 변경후 시간 변경이 됨 )

  cp /usr/share/zoneinfo/Tokyo /etc/localtime

  cp /usr/share/zoneinfo/Asia/Tokyo /etc/localtime

   둘중 하나 실행하면 된다.

Posted by 꼬장e
,

http://tory45.egloos.com/viewer/4913920

 

[요약]

vi /etc/X11/xorg.conf

Section "ServerFlags"
    Option "BlankTime"    "0"
    Option "StandbyTime"  "0"
    Option "SuspendTime"  "0"
    Option "OffTime"      "0"
EndSection

 

Section "Monitor"
    Option "dpms"   "false"
EndSection

Posted by 꼬장e
,

다운로드

http://mirror.oops.org/pub/oops/oops-firewall/


설치

rpmbuild -tb oops-firewall-7.0.1.tar.bz2

cd /usr/src/redhat/RPMS/noarch


rpm -Uvh oops-firewall-7.0.1-1.noarch.rpm

Posted by 꼬장e
,

▶ hiberfil.sys ( 최대절전모드 영역 )

   powercfg -h off 로 제거 가능


▶ pagefile.sys : 가상메모리 영역

  시스템속성 -> 고급 -> 성능 -> 고급 -> 가상메모리 부분에 페이징파일 없음 선택


Posted by 꼬장e
,

작업관리자에서 WgaTray.exe 라는 프로세서 강제 종료 후 제빠르게 파일 삭제

c:WINDOWS>del wgatray.exe /s /f /a
c:WINDOWS>del wgalogon.dll /s /f /a
c:WINDOWS>del legitcheckcontorl.dll /s /f /a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NT / CurrentVersion / Winlogon / Notify - 폴더 자체를 삭제.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Uninstall / WgaNotify - 폴더 자체를 삭제.

Posted by 꼬장e
,